한양아이소리 3

2025년 3월의 기록: 특별교육과 집단상담, 그 온도 차이 속에서 배우다

안녕하세요. 어느덧 2025년 3월, 새로운 학기의 분주함과 함께 저의 일상도 바쁘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오늘은 지난 며칠간 진행했던 특별교육 프로그램과 고등학교 집단상담 이야기를 조금 편안하면서도 전문적인 시각으로 풀어볼까 합니다. 특히 아이들의 생생한 반응과 그 속에서 제가 느꼈던 점들을 함께 나눠보고 싶네요.1부: 특별교육 - 얼어붙은 마음 녹이기, 쉽지 않은 여정 (3일간의 기록)이번 주 초부터 3일간,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친구들과 특별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에는 출석 자체가 힘들거나, 학교에 오더라도 수업 참여가 어렵고 때로는 교사와의 갈등으로 인해 참여하게 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매번 그렇지만, 이번 만남도 저에게 많은 생각거리를 안겨주었죠.솔직한, 때로는 날카로운 ..

영화 속 사이코패스, 상담으로 변할 수 있을까? 뇌과학과 치료법 심층 탐구 🧠🎬

'사이코패스'😨 – 이 단어는 현대 사회에서 극단적인 범죄, 냉담함, 공감 능력 부재와 동의어처럼 사용되며 대중의 호기심과 공포를 동시에 자극합니다. 미디어는 사이코패스를 매력적이면서도 위험한 인물로 그려내고, 인터넷에는 그들을 식별하거나 피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가 넘쳐납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 이면의 과학적 진실은 무엇일까요? 사이코패스는 정말 타고나는 것일까요, 아니면 환경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일까요? 🤔이 복잡하고 민감한 주제를 탐구하는 데 있어, UC 어바인 의대의 저명한 뇌과학자이자 신경해부학자인 제임스 팰런(James Fallon) 교수👨‍🔬만큼 흥미로운 인물은 없을 것입니다. 그는 자신의 연구 과정에서 스스로가 사이코패스의 생물학적 특징을 지녔음을 발견하고, 이 충격적인 자기 인식의..

행복 스위치, '지금' 켜세요! 💡 뇌과학자 김주환 교수가 알려주는 일상 속 행복 충전 비법 (ft. 내면소통)

시 오늘도 숨 가쁘게 하루를 보내며 '나중에…', '이것만 끝나면…' 하고 행복을 잠시 미래로 미뤄두셨나요? 😊 괜찮아요. 바쁜 우리에게 어쩌면 너무나 익숙한 생각이니까요.하지만 '내면소통'의 저자이자 뇌과학자인 김주환 교수님은 바로 그 생각이 우리를 행복에서 멀어지게 할 수 있다고 따뜻하게 조언합니다. 마치 목적지를 눈앞에 두고도 계속 빙빙 돌아가는 내비게이션처럼 말이죠.🧭오늘은 딱딱한 이론 대신, 김주환 교수님의 지혜를 빌려 어떻게 하면 '지금 바로' 우리 안의 행복 스위치를 켤 수 있는지, 일상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꿀팁 중심으로 쉽고 편안하게 알아볼게요!🤔 잠깐! 왜 '나중에 행복'은 함정일까?​우리는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말을 믿으며 현재를 희생하는 데 익숙해요. 하지만 이 패턴이..